vi encoding

vi encoding change ( 문자셋 변경하여 보기) 깨져보이는 파일의 인코딩을 변경하여 바로 보기 보기변경 :e ++enc=euc-kr 저장타입변경 :set fileencoding=utf-8 저장 :w .vimrc set nocompatible " 오리지날 VI와 호환하지 않음 set autoindent  " 자동 들여쓰기 set cindent " C 프로그래밍용 자동 들여쓰기 set smartindent " 스마트한 들여쓰기 set wrap set nowrapscan " 검색할 때 문서의 끝에서 처음으로 안돌아감 set nobackup " 백업 파일을 안만듬 set visualbell " 키를 잘못눌렀을 때 화면 프레시 set ruler " 화면 우측 하단에 현재 커서의 위치(줄,칸) 표시 set shiftwidth=4 " 자동 들여쓰기 4칸 "set number " 행번호 표시, set nu 도 가능 set fencs=ucs-bom,euc-kr,utf-8,latin1 " 한글 파일은 euc-kr로, 유니코드는 유니코드로 set fileencoding=utf-8 " 파일저장인코딩  set tenc=utf-8      " 터미널 인코딩 set expandtab " 탭대신 스페이스 set hlsearch " 검색어 강조, set hls 도 가능 set ignorecase " 검색시 대소문자 무시, set ic 도 가능 set tabstop=4 "  탭을 4칸으로 set lbr set incsearch "  키워드 입력시 점진적 검색 syntax on "  구문강조 사용 filetype indent on "  파일 종류에 따른 구문강조 set backgro...

ubuntu remote mount ( 우분투에서 원격드라이브 마운트 )

in ubuntu, remote mount ( 원격 드라이브 마운트 ) required : sudo apt-get install cifs-utils mount -t 타입 원격패스 로컬패스 -o password=암호,username=사용자아이디 sudo mount -t cifs  //192.168.0.81/docs docs -o password=passwd,username=user1 cifs : 인터넷을 위한 파일포맷, 현재위치의 docs 폴더에 원격지 192.168.0.81서버 밑의 docs공유폴더를 매핑하여 마운트하되, user1사용자로 하며 패스워드는 passwd이다. trouble shooting Why do I ge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error? sudo apt-get install cifs-utils mount.cifs: bad UNC ( //192.168.0.81/docs) ==> include option ,sec=ntlm sudo mount -t cifs  //192.168.0.81/docs docs -o password=passwd,username=user1,sec=ntlm

ubuntu defaut java setting법

ubuntu default java setting ( multi version installed ) ubuntu에서 멀티 버전 자바 설치 및 기본 자바 설정방법 #install sudo apt-get install openjdk-6-jdk sudo apt-get install openjdk-7-jdk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default setting sudo update-alternative --config java sudo update-alternative --config javac

raspberry pi password reset (라즈베리파이 패스워드 리셋/초기화)

Step 1 – Grab The SD Card Power down the Pi and remove the SD card. Insert it into your PC. Step 2 – Edit cmdline.txt The boot partition should be visible and contain a file named “cmdline.txt”. Edit this file in a text editor and add the following to the end of the existing text : init=/bin/bash   If the original content was : dwc_otg.lpm_enable=0 console=ttyAMA0,115200 kgdboc=ttyAMA0,115200 console=tty1 root=/dev/mmcblk0p2 rootfstype=ext4 elevator=deadline rootwait it should now look like : dwc_otg.lpm_enable=0 console=ttyAMA0,115200 kgdboc=ttyAMA0,115200 console=tty1 root=/dev/mmcblk0p2 rootfstype=ext4 elevator=deadline rootwait  init=/bin/bash   Make sure it is all one line! Save the text file and eject the SD card from the PC. Step 3 – Reset the Password Insert the card into a Pi that is connected to a monitor and keyboard. Power up the Pi. There may be a delay but you should be presented with a flashing cursor. At the prompt type t...

ubuntu 에서 외장하드 ( NTFS ) 공유하기

ubuntu 에서 외장하드 ( NTFS ) 공유하기(15.10확인) 1. 자동마운트 혹은 영구마운트 (fstab수정 혹은 sudo apt-get install usbmount) 2.  /etc/samba/smb.conf 수정 ( ntfs는공유시 권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 [global] usershare owner only = false 3. 해당 폴더에 가서 마우스 오른쪽으로 공유하기.  폴더-->마우스오른쪽버튼-->로컬네트워크공유 ubuntu 에서 ubuntu 내의 ( ext4 포맷 등) 폴더를 공유하는 것은, 윈도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공유 기능을 켜면 바로 해결된다. 참고)영구 마운트 방법 영구마운트의 경우 원하는 위치에 마운트시켜줄 수 있고 부팅하면서 바로 붙는다. usbmount사용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나, 상황에 따라 계정밑에 혹은 usb에 붙기도 한다. (/media/user1/external, /media/usb) 대상확인(/dev/sdb) sudo fdisk -l | grep /dev/sd #연결된 디스크 및 파티션 확인 마운트할 위치의 빈 폴더 만들기(확인용), 마운트, 확인 영구마운트정보를 잘못 기록한 경우 부팅하면서 중단되므로 미리 확인한다. 만약 이 상황이 발생했다면,   vi /etc/fstab   이후에 해당 항목을 지워주고 부팅을 다시 진행하면 된다. sudo mkdir /media/storage sudo mount /dev/sdb2 /media/storage sudo fdisk -l | grep /dev/sdb2 영구마운트(권한포함) : ntfs는 공유 시 권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영구마운트 필요.(확실하지 않음) 1)루트권한으로 쉘을 연다 2)/dev/sdb2 를 /media/storage에 마운트한다. 타입은 fuseblk(사용자블럭디바이스), 권한이나 기타 설정은 defaults로, 덤프대상...
SSH 간편하게 사용하기 (리눅스) ( ssh keygen ) 나만의 패스워드로 접속 가능하게 하거나, 패스워드 없이 접속하거나. ssh-keygen -t rsa  ssh-copy-id userid@remote_host ssh userid@remote_host 1. SSH 키 생성 (로컬에서 )  ssh-keygen -t rsa 그리고 엔터세번(패스워드를 입력하면 ssh 접속시 패스워드 물어봄) $ ssh-keygen -t rsa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home/hs/.ssh/id_rsa):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Enter same passphrase again:   ...  The key's randomart image is: +---[RSA 2048]----+ |   ...           | |    . .          | |     . .         | |     ..o.        | |      ooS .      | |      .*.+ o ..  | |      o.=oo=+=+  | |...

리눅스, 라즈비안, 라즈베리파이 부팅 시 자동실행(linux auto run on boot)

펌) 라즈베리파이(라즈비안)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실행 등록하기 안녕하세요 산딸기마을 이장 나무꾼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원격접속(ssh,tightvncserver,xming ETC…)을 이용하여 파이를 이용하실 텐데요.  매번 vncserver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고,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vncserver 가 실행될 수 있도록 라즈베리파이에 자동실행등록 법을 정리 해 봤습니다.    0. 라즈비안(리눅스) 프로그램 자동등록 실행 이란 ? 라즈비안(리눅스)에는 부팅 시, 자동등록 설정을 해주는 설정파일 등록방법과 명령어를 이용해 등록을 하는 두 가지가 존재하고 있다.  a. /etc/rc.local 환경설정 수정 위 파일 내에 실행 명령어를 추가하여 부팅 시에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 b. update-rc.d 명령어 별도의 등록 스크립트를 코딩하여, 부팅 시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실행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 1. /etc/rc.local 환경설정 수정 등록하기   그럼 예시로 라즈비안 Remote 프로그램 중 하나인 tightvncserver 를 /etc/rc.local 파일 내에 등록하여, 자동실행이 되도록 해 보자. pi@rasplay ~ $ sudo  nano /etc/rc.local   편집기(nano,vi,vim ETC…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c.local’ 환경설정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보일 것이다 이 중 추가해 주어야 하는 라인은 ‘fi’ 와 ‘exit 0′ 사이에 본인이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실행 명령어를 입력 후, 저장을 하고 재 부팅을 시동하여 테스트를 해 보자. #!/bin/sh -e # # rc.local # # This script is executed at the end of each multiuser runlevel. # M...
이미지
    Windows 7 + Linux Samba sharing problem - ERRnomem  REF : http://www.dedoimedo.com/computers/windows-7-samba-errnomem.html protocol negotiation failed: ERRDOS:ERRnomem Updated: November 2, 2012 The situation you are facing is like this: You have successfully used Samba sharing in Linux to access Windows XP shares on your local network. It worked without any problems, including by name and/or IP address. You could open the shares and write to them. Since migrating to Windows 7, you are seeing a weird problem. Your Samba sharing no longer works. In Nautilus, you get a very generic error that says: failed to access share. You are not a clueless user and you know all about permissions, firewall and all that. To make the situation worse, the sharing might work on some Windows 7 boxes, but not on others. So you feel worried and think what to d...

삼바 클라이언트 (samba-client cifs) 를 사용한 윈도 폴더, 프린터 사용하기

이미지
발췌 ( http://www.wsgvet.com/bbs/board.php?bo_table=web&wr_id=26 )  리눅스에서 윈도의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 * CIFS ( Common Internet File System : extended SAMBA ) 공유기 아래에 리눅스 기계 2대의 경우 서로의 삼바 서버를 마운트 하는 방법입니다. 그냥 외장하드를 다른 곳에 마운트하면 되지만, 기존의 설정이라든지 여러가지 물려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정 폴더만 메인 웹서버에 마운트하면 작업하기가 더 편하겠죠. 저의 경우는 오드로이드의 CPU가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ajaxplore 같은 CPU소모량이 많은 프로그램을 돌리고, 외장하드는 포고에 붙은 것을 삼바클라이언트로 마운트하여 쓸 계획입니다. 우선 서버과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정해야겠죠. 서버는 말 그대로 파일 서버, 즉 파일을 가지고 있는 쪽입니다. 위의 도식도에선 포고플러그가 그 역할을 하구요. 클라이언트는 파일을 요청하는 쪽입니다. 오드로이드가 그 역할을 하겠습니다. 우선 삼바 서버의 역할을 할 포고에서 할 일을 생각해봅시다. 기존의 삼바 설정을 보면 nano /etc/samba/smb.conf 에서  [ smb ] comment = samba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용 서버 path = /media/FTP/Drama valid users = smb read only = yes public = yes writeable = yes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즉 삼바서버의 이름이 smb이고, 설명은 samba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용 서버 이렇게 나오구요 파일의 위치는 /medua/FTP/Drama 이고 유효한 사용자는 smb 라는 ID를 가진 계정이고, 읽을 수 있고, 개방되어 있고, 쓸 수 있다. 이 정...

안드로이드(android) 문자(sms mms) 저장위치

안드로이드 (android) 문자(sms, mms) 저장위치 루트 권한이 필요하지만 아래 위치 파일에 있다.   /data/data/com. android .providers.telephony/databases/mmssms. db

티머니(T-money), 팝카드(popcard) 교통비 연말정산/소득공제

이미지
티머니(T-money), 팝카드(popcard) 교통비 연말정산, 소득공제 티머니(T-money)카드나 팝카드(popcard) 뒷면에  T-money 소득공제 제휴사 포인트 적립은 POP카드 홈페이지(www.popcard.co.kr) 등록 후 이용가능 이라고 되어있다. 이거 완전히 사용자  엿먹이기. 등록 후 이용가능 이란 말  --> 연말정산 받는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는 뜻일 뿐 무척 단순하게 썼지만, 여러 단계가 있다. 등록만 하면 연말정산 못받음 등록하고 소득공제가능하도록 설정해줘야 함. 그리고, "설정한 그 날부터, 사용된 것에 대해 소득공제" 할인용 카드로 구매(청소년/어린이)  구매처에서밖에 설정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다시 가서 설정하였음^^;) 사이트계정만들기(www.t-money.co.kr, www.popcard.co.kr) 할인용 카드를 사이트에 등록 (10일이내 등록 안하면 할인용 설정 없어지고 일반용으로 바뀜, 그러면 구매처에 또 가야...) 카드 등록현황에서 서비스 변경(신청/해지 버튼) 할인용 카드 서비스 적용 등록된 여러 카드 중 하나만 됨(하나 설정하면 다른 것이 풀림) 소득공제 서비스 적용 마일리지 서비스 적용

UML Class Diagram source code mapping

이미지
발췌)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소스코드 매핑 Posted by  강 형구  in  배움터 - 열공 ,  일터 - 경험과 노하우 on Mar 8th, 2014 불과 몇 년 되지 않은 학생 시절… 처음으로 UML을 접했고, UML의 기초적인 그리는 법과 사용법을 배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쉽지 않은 수업이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클래스간의 relationship(관계)가 제일 어려웠습니다.Generalization(일반화)과 Realization(실체화)은 명확하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고 Dependency(의존) 부터 조금 어려워 지더니 Association(연관)과 Aggregation(집합), Composition(합성) 3종 세트에 가서는 머리가 복잡해졌습니다. 특히 Aggregation과 Composition이 논리적으로 약하고 강한 집합이라는 차이는 알겠지만 ‘그래서 어떤 명확한 차이점이 발생하는 거지? 저걸 코드로 만들 때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거지?’라는 생각과 함께 잘 와 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2013년 9월에 진행 됐던 ’2013 넥스트리 신입사원 인큐베이션 세미나’에서 발표 주제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정하고 그 동안 배운 것들과 추가로 공부를 더한 것들로 발표를 했고, 많은 도움이 됐던 시간이었습니다. 세미나 발표 후 몇가지 내용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그 아쉬움과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여 글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기본적인 요소들과 클래스간의 관계, 그리고 제가 제일 어려웠던 이 관계들을 어떻게 코드로 나타내어야 할지에 대해서 썼으며 언어는 Java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2013 신입사원 인큐베이션 세미나’ 에 대한 글도 Nextree 홈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UML UML이란 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1997년 OMG(Object...

건구온도, 습구온도, 불쾌지수, 공기조화, 날씨측정정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  http://www.koita.or.kr/main/main.aspx 소프트웨어공학센터  http://www.software.or.kr/ 국제전기전력전시회  http://www.reg-net.co.kr/electric/2012/kor_reg.asp 구로 날씨정보  http://www.kma.go.kr/cgi-bin/aws/nph-aws_txt_min?20140530&0&MINDB_60M&423 구로 날씨그래프  http://www.kma.go.kr/cgi-bin/aws/nph-awsm_tms_h24?201406181800&0&423&m 날씨정보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aws_table_popup.jsp 불쾌지수  http://www.kahp.or.kr/bin/magicContents.php?tkind=2&lkind=6&mkind=25&skind=175 습구온도 건구온도  http://scienceorc.net/science/study/jigu/g09-12.html 불쾌지수 계산식  http://chamsil.eduhope.net/html/math/livingmath/order15.htm 불쾌지수 계산식 http://www.kma.go.kr/HELP/basic/help_01_05.jsp 공기조화의 이해  http://yyoung.com.ne.kr/doc1.htm 기상청의 불쾌지수 산정방식 불쾌지수 = (9/5)T - 0.55(1-RH)[(9/5)T -26) + 32 RH : 상대습도(소수단위), T : 기온(℃) ----------------------------------------------------- l       단...

Reverse engineering Air Conditioner IR Remote control protocol

이미지
soruce : http://www.instructables.com/id/Reverse-engineering-of-an-Air-Conditioning-control/?ALLSTEPS Hi, this is my first instructable, hope you like it. To get into electronics I chose a home automation project: a system allowing me to control and program both air conditioner units in my flat. In this instructable I show how I got to understand the IR protocol. Material: - Panasonic inverter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 - Raspberry Pi with raspbian and lirc installed - 38kHz Infrared (IR) Receiver Module (for instance RadioShack Catalog #: 276-640) - breadboard The raspberry Pi is useful in my setup to analyse the incoming IR signals, but also to host other components on the global project. Any other computer equipped with an IR receiver could do. An Arduino could also output the needed information using the IRremote library (https://github.com/shirriff/Arduino-IRremote). This library will be used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s in the end. The method used here could ...